그냥 이 책 자체가 당신은 잠들수있다 당신은 수면제없이잠들수있다 당신은잘수있다!!!!!!!!!! 라고 자기세뇌하게 도와주는 책 같았음. 그리고 그렇게 자기세뇌에 성공하지 못하면 불면증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게 이 사람의 주장이기 때문에.. 네.. 맞다고는 생각함. 근데 책 전체가 그런 내용이라면? 오마이갓
좀 동의하지 못하는 부분도 있는데(평소 수면시간에서 몇시간 빼먹고 자도 괜찮다는 이야기) 대부분은 정말 잠!! 잠들기 위한!! 수면을 위한!! 조언이 많아서 그냥 알아서 골라들으면 됨
현대인의 질병.. 현대인의 필수요건.... 불면증..........
차라리 정말 '수면'에 대한 탐색을 해보고 싶다면 <우리는 왜 잠을 자야 할까 - 매슈워커> 추천합니다
솔직히 자기 하버드 나왔다고 이름 내건거같은 느낌이 없지않아 있음
이건 코리안 전용 따로 만들어야 되는거 아닌가? 생각이 들었음 ㅅㅂ ㅋㅋㅋㅋㅋㅋㅋㅋㅋ
P.31 . 하지만 이제 수면제는 만성 불면증 치료에 안전하거나 적합한 방법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잠을 잘 수 있다는 장점보다 훨씬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또한 불면증에 그다지 뛰어난 효과를 보이지 않는 데다 시간이 지나면 약효마저 사라진다. 게다가 외부적인 요소를 통해 불면증을 치료한다는 생각을 강화해서 신체 및 심리적 의존성이 발생하게 만든다. 그 결과 불면증 환자들은 무력감을 느끼고 통제감과 자존감이 낮아진다.
P.43 가끔 자신은 꿈을 꾸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지만 그렇지 않다. 모든 사람이 꿈을 꾸지만 그저 그 대부분을 잊는 것이다.
P.43 또 다른 흥미로운 사실은 렘수면 동안 남성의 경우 발기가, 여성의 경우 음핵 충혈이 일어난다는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성과 관련한 꿈을 꿔서라기보다는, 아마도 렘수면 동안 인체의 전반적인 신체적 흥분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렘수면 시 발기는 종종 남성의 발기부전이 심리적인 것인지 신체적인 것인지를 시험하는 데 사용된다. 렘수면 동안 발기부전이 일어나지 않으면 이는 신체적인 문제고 일어나면 심리적인 요소가 문제일 가능성이 높다.
P.45 흔히 체온이 약 37°C로 일정하게 유지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사실 체온은 약 하루 단위의 24시간 주기를 따르며 시간대별로 달라진다.
체온은 이른 오전 시간에 가장 낮고 해가 뜨기 직전에 오르기 시작하여 오후 중간까지 계속 올라간다. 그리고 어느 정도 떨어졌다가 다시 오르기 시작하여 오후 6시쯤 최고에 도달한다. 이 상태를 몇 시간 유지하다가 내 려가기 시작, 잠이 들면 급격하게 떨어져서 오전 4시경 하루 중 가장 낮은 온도까지 다다른다. 건강한 젊은 성인의 경우 1일 최저 온도와 최고 온도의 차이는 약 0.83°C에 이른다.
같은 날이라도 이렇듯 체온이 변하면 활동성, 기민성, 졸음의 강도가 달 라진다. 인간은 체온이 가장 높을 때 가장 기민하고 활동적이며, 이는 주 로 늦은 오전과 이른 저녁 시간대에 해당한다. 밤에 체온이 내려감에 따라 점점 졸리고 활동성도 떨어져서 오전 3시 30분경이 되면 하루 중 수면에 대한 욕구가 가장 강해진다. 하지만 잠을 잘 자든 못 자든 24시간을 주기로 체온과 기민성의 수준이 변하므로, 수면이 부족한 상태라 해도 체온이 오르면 기민성이 높아질 것이다.
P.51 평균 30분 이상 깨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다가 잠이 들면 입면장애형 불면증, 자다가 밤 중에 깨서 30분 이상 다시 잠들지 못하면 수면 유지장애형 불면증으로 분류한다.
P.70 당신도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여 수면제를 정복하고 수면제의 덫에서 빠져나올 수 있다. 또한 보다 기초적이고 강력한 무언가를 성취할 텐데, 바로 스스로 생각과 행동을 바꿀 힘이 자신에게 있다는 사실을 증명하는 일이다. 이 힘은 당신의 자존감을 높어줄 것이다. 그리고 당신은 새로운 시각에서 자신을 바라볼 수 있을 것이다. 당신은 자신의 몸과 건강에 대해 훨씬 강력한 통제력을 가질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됨으로써 스스로의 삶에 대해 더 많은 권한을 부여하게 될 것이다. 즉, 수면제를 물리치는 일은 내 삶의 지휘권을 찾는 데 촉매제 역할을 할 수 있다.
P.110 자신이 충분한 수면을 취하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는 세 가지 질문은 다음과 같다.
1. 잠에서 깨기 위해 자명종이 필요한가?
2. 주말에 습관적으로 늦잠을 자는가?
3. 회의, 강의, 지루하고 정적인 활동, 또는 TV를 시청하는 동안 자주 잠이 드는가?
위의 질문들에 대한 대답이 노라면 당신은 충분한 수면을 취하고 있고,
실제로 필요한 것보다 많이 자려고 애쓰는 중일 수 있다.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든 아이들은 예민하다 - 김효원 (3) | 2024.09.02 |
---|---|
고래 - 천명관 (0) | 2024.05.15 |
나는 브랜딩을 호텔에서 배웠다 - 정재형 (0) | 2024.05.06 |
희랍어 시간 - 한강 (0) | 2024.04.17 |
나는 소망한다 내게 금지된 것을 - 양귀자 (0) | 2024.03.01 |